Do Your Best!

2015년 9월 10일 목요일

노트5 리뷰..



[크로스 리뷰] 갤럭시 노트5의 첫 인상, 두 기자가 이야기하다






wpid-2015080_cover.jpg





때문에 이번에는 조금 다른 이야기를 기획했다. 노트 시리즈만 써왔던 기자와 다른 제품을 두루 써본 기자가 각자 갤럭시 노트5에 대한 첫 느낌을 정리했다. 하지만 이 글은 갤럭시 노트5의 개봉기도, 리뷰도 아니다. 첫인상에 대한 크로스 리뷰일 뿐이다. 갤럭시 노트5의 자세한 리뷰와 평가는 좀더 시간을 갖고 살펴본 뒤 이야기를 전하겠다.


↑갤럭시 노트5
↑갤럭시 노트5


선택의 이유?

김남욱 기자 | 사실 노트 시리즈도 나올 때마다 한번씩 써보긴 했다. 다만 지난 언팩 행사를 본 뒤로 갤럭시 노트5가 어떻게 변했나 궁금했다. 개인적으로 S 시리즈보다 노트 시리즈가 삼성전자 주력 라인업이라 여긴 터라 오히려 선택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 선택한 모델은 블랙, 32GB이다.
최필식 기자 | 갤럭시 노트1부터 4까지 썼다. 갤럭시 노트 시리즈를 계속 써온 터라 다른 것보다 좀더 익숙해서 골랐다. 나도 블랙 32GB를 골랐다. 사실 이날 이 모델 말고 구할 수 있는 제품이 없기도 했다. 다만 아이폰을 쓰는 김남욱 기자가 이 제품을 고른 건 의외다.


용량 문제?

최필식 기자 | 32GB 모델을 구매했지만, 마이크로 SD 카드 확장도 어렵고 좀 난감할 것 같긴 하다. 스마트 스위치로 갤럭시 노트4의 앱을 노트5로 이전하고 설정을 마치니 남은 용량은 20GB다. 갤럭시 노트4때도 32GB에 64GB 메모리 확장으로도 모자랐는데… VR 컨텐츠는 엄두도 못내겠다.
김남욱 기자 | 영상 같은 덩치 큰 파일은 다른 경로로 이용하는 방법을 쓸 수밖에 없을 듯하다. 그닥 내키진 않지만 USB OTG 저장 장치를 활용하는 방법도 있을 것이다. 꼭 쓰지 않는 상황이 오길 바랄 뿐이다.


↑갤럭시 노트5의 구성품들
↑갤럭시 노트5의 구성품들


패키지 구성?

김남욱 기자 | 갤럭시 S6 엣지는 그냥 종이로 칸막이처럼 만들어서 이어폰과 어댑터를 구분해 넣어둔 정도였는데, 이처럼 깔끔하진 않았다. 이어폰을 이처럼 플라스틱 통에 넣어 놓으니까 새롭게 보인다. 그런데 그 모양새를 보아하니 애플 지지자들로부터 따라했다는 소리를 들을 빌미를 줄 것 같긴 하다.
최필식 기자 | 패키지를 열어보니 갤럭시 노트4하고는 많이 달라졌다. 뭐랄까. 종전 삼성 패키지하고 다르다. 애플 패키지와 비슷한 느낌이 들기도 하지만 좀더 빨리 이렇게 내놨으면 어땠나 싶다. 어차피 추가 배터리나 보조 충전기 등 노트4 때도 많은 것을 빼지 않았나.


↑폭이 줄고 뒤판을 살찍 구부린 때문에 잡기 편해진 갤럭시 노트5
↑폭이 줄고 뒤판을 살찍 구부린 때문에 잡기 편해진 갤럭시 노트5


손에 쥐는 느낌?

최필식 기자 | 갤럭시노트4 보다 손에 쥐는 느낌이 꽤 좋다. 갤럭시 노트4와 노트5를 포개놓으면 노트5의 폭이 좁아진 걸 알 수 있다. 하지만 손에 쥔 느낌이 좋아진 것은 단순히 그 이유만은 아니다. 뒤를 곡면으로 만든 것과 얇은 테두리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단지 뒤판의 재질이 바뀌면서 자기 개성이 조금 줄어들기는 했다.
김남욱 기자 | 뭐랄까. 기억 속에 남아 있던 갤럭시 노트4를 쥘 때는 우람한 느낌이었다. 그에 비하면 갤럭시 노트5는 정말 아담한 듯하다. 크기나 제원을 보면 정말 큰 차이는 없는거 같은데 막상 손에 쥐었을 때는 완전히 다르다. 갤럭시 노트 4때 화면과 테두리 사이에 카드 꽂아서 인증하던 게 유행이었는데, 이제 그런 건 통하지 않을 만큼 견고해졌다.


본체 재질?

김남욱 기자 | 뒤판 재질을 플라스틱에서 유리로 바꾼 것까지는 괜찮은데 갤럭시 S6와 너무 비슷해서 뒤만 보면 노트5인지 구분하기 어려울 수도 있다. 필름도 붙여야 한다. 유리라 그런지 지문 자국이 정말 잘 남는다. 본체 색깔이 진할 수록 지문 자국도 두드러진다. 아직 갤럭시 노트5용 뒤판 필름이 없다. 일단 양옆이 휘어진 터라 갤럭시 S6 엣지용 보호 필름을 대충 붙여두기는 했다. 꼭 맞진 않아도 임시로 쓰는 데는 괜찮다.
최필식 기자 | 갤럭시 노트3때 바느질을 느낌을 살린 뒤판이 가장 인상적인데, 그 뒤로 그런 개성을 찾기 힘들어지고 있다. 갤럭시 노트5도 특수 유리 소재를 썼기에 반짝반짝 빛나 겉보기는 좋지만, 자기 개성이 조금 줄어든 듯하다. 지문 자국이 남는 문제 때문에 급한 대로 젤리 케이스를 씌웠다.


↑갤럭시 노트5는 이어폰 단자를 아래쪽으로 옮겼다
↑갤럭시 노트5는 이어폰 단자를 아래쪽으로 옮겼다


단자 구성?

최필식 기자 | 갤럭시 노트5는 이어폰 단자를 아래 쪽으로 내렸다. 지금까지 나온 노트 시리즈가 모두 위쪽에 있어서 여기에 익숙하다 보니 아래로 내려간 단자에 익숙한 상황은 아니다.
김남욱 기자 | 나는 오히려 아래쪽에 이어폰 단자가 있는 것도 괜찮다. 기자가 쓰고 있는 아이폰6 플러스도 이어폰 단자가 아래쪽에 있어서다. 그래서 오히려 적응은 쉬웠다.


첫 설정?

김남욱 기자 | 갤럭시 노트5를 쓰기 위한 기본 설정에서 새로운 설정은 없어 보이는 데, 설정의 단계를 늘린 이유를 모르겠다. 대부분 귀찮아서 그냥 건너뛰어기를 눌러 버렸다. 아마도 비슷한 경험을 하는 이들이 많을 듯하다.
최필식 기자 | 첫 설정이 많다보니 처음부터 귀찮다 싶은 느낌을 줄 것 같아 걱정이다. 더구나 선탑재된 앱 가운데 평소 쓰지 않는 걸 지우는 과정까지 감안하면 첫 설정이 너무 긴 게 아닌지 다시 검토해야 할 듯하다. 사실 가장 당황한 것은 T안심 같은 일부 이통사 기능을 지우거나 감출 수 없게 메뉴에 포함시킨 것이다. 전원 케이블을 연결하자마자 앱이 알아서 실행해 순간 당황하기도 했다.


↑갤럭시 노트5의 홈화면과 아이콘
↑갤럭시 노트5의 홈화면과 아이콘


화면?

최필식 기자 | 갤럭시 노트4와 노트5의 화면을 보니 해상도에 따른 차이는 없어 보인다. 그래도 이전보다 같은 밝기 단계에서 갤럭시 노트5 화면이 좀더 밝고 깨끗하게 보인다. 좀더 시원해진 느낌이랄까?
김남욱 기자 | 예전보다 좀더 부드러워진 느낌이다. 아직 전문적인 테스트는 못해서 단정지어 말할 수는 없지만 다른 제품보다 좀더 선명해진 듯하다.


홈 화면과 아이콘?

김남욱 기자 | 4×4, 4×5, 5×5로 아이콘을 배열할 수 있는 구조를 고를 수 있어 화면에 좀더 많은 것이 들어가는 것을 곧바로 느꼈다. 아이콘 모양이 바뀌니까 눈에 보이는 느낌부터 사뭇 다르다. 다만 아이콘을 통일감 있게 꾸밀 수 있는 기능이 들어갔으면 하는 바람을 언제쯤 이뤄줄지 궁금하다. 다른 앱을 설치하니 역시 들쭉날쑥해져 보기에 좋진 않다.
최필식 기자 | 홈 화면을 보자마자 바뀐 배열이 곧바로 눈에 들어왔다. 이제야 앱서랍과 같은 구조가 된 것이다. 다만 홈화면의 설정 옵션이 없고 롤링이 되지 않아 불편하다. 앱 아이콘의 틀을 모두 똑같이 만들면 더 보기 좋을 텐데 안타깝다. 에이수스는 테마팩을 설치하면 아이콘을 모두 같은 같은 틀안에 넣어서 맞춰버리는데 갤럭시 노트5는 그렇지 않았다.

↑갤럭시 노트5의 S펜은 끝부분을 살짝 누르면 튀어나온다.
↑갤럭시 노트5의 S펜은 끝부분을 살짝 누르면 튀어나온다.


S펜?

최필식 기자 | 필기감은 전작과 비교했을 때 아직까지 큰 차이를 느끼진 못하고 있다. 펜 자체의 모양이 조금 바뀌긴 했지만, 여전히 플라스틱 재질이라 종전보다 아주 다른 새로움을 발견하는 것은 쉽지 않다. 펜 끝을 버튼 식으로 처리한 건 인상적다. 단지 이 부분도 꺼내고 넣는 쓰임새 말고 다른 하나가 없다는 아쉬움이 더 크다.
김남욱 기자 | 오랜 만에 다시 펜을 만져서 그런지 손에 쥐고 필기할 때 아직 어색하다. 버튼을 눌렀을 때 펜이 너무 얕게 튀어나와 빼는 게 편하진 않다. 분실 위험 때문에 그랬는지 몰라도 손톱으로 뺄 때와 크게 차이가 없는 것 같다.


꺼진 화면 메모?

김남욱 기자 | 펜을 꺼낸 상태에서 화면이 꺼졌을 때 꺼진 화면 메모를 쓸 수 있는 방법이 없는 거 같다. 펜을 다시 넣고 빼야만 실행된다. 차라리 S펜의 버튼 끝을 눌러서 꺼진 메모를 불러오는 건 어떨지… 아, 액션 메모에서 지우기를 두 번 선택하면 전체 삭제로 썼던 내용을 지우는데 꺼진 화면 메모는 그게 안된다.
최필식 기자 | 꺼진 화면 메모는 좋은 기능이다. 단지 평소 메모를 잘 안하는 사람이 만든 것 같은 느낌이다. 메모를 하다가 다시 깨끗하게 메모를 하려고 삭제를 누르면 잠금화면으로 돌아가 버린다. 꺼진 화면이라는 틀 안에서 메모, 저장, 종료가 이뤄져야 하는데 잠금화면으로 넘어가니 당황스럽다.


↑갤럭시 노트5의 삼성 페이. 카드 등록은 그리 어렵진 않지만, 아직 일부 카드는 쓸 수 없다.
↑갤럭시 노트5의 삼성 페이. 카드 등록은 그리 어렵진 않지만, 아직 일부 카드는 쓸 수 없다.


삼성 페이?

김남욱 기자 | 갤럭시 노트5에서 삼성페이가 가장 궁금했다. 아직 결제까진 못해봤다. 일단 서비스에 등록하고 어떤 변화가 있는지만 살펴봤다. 신용카드 2개를 등록했는데 제대로 될 때 과정은 편하다. 일부 카드는 카메라로 스캔하지 못해 직접 입력했다. 결제는 아직 못해 봤다. 날 밝으면 가서 테스트할 것이다.
최필식 기자 | 펜 때문에 노트 시리즈를 쓰지만 루프페이를 써본 경험이 있는터라 좀더 빨리 삼성페이를 쓸 수 있는 갤럭시 노트5를 기대했다. 마그네틱 카드 리더로 읽는 루프 페이보다 카드 등록 과정은 수월하다. 하지만 모든 카드를 쉽게 입력하는 건 아니고, 아직 기자가 주로 쓰는 하나 계열 카드는 삼성페이에 등록할 수 없다. 10월쯤 된다니까 기다리며 그동안 다른 카드를 등록해서 시험해 볼 생각이다.


그 밖의 이야기?

최필식 기자 | USB에 대한 비밀 하나를 공유하겠다. 갤럭시 노트5를 사오자마자 기어VR에 꽂으려다 USB 단자 모양이 또 바뀌었다는 걸 알았다. 노트4와 노트5 모두 표준 USB와 호환이 되지만, 노트4는 표준 USB 단자가 아니라 전용 제품을 쓸 수 있는 USB 단자를 갖고 있었다. 때문에 표준 USB 단자를 가진 갤럭시 노트5와 노트4 전용 액세서리의 호환성이 없다. 아마 갤럭시 노트6 때 USB 타입 C를 넣을 것을 예상하면 또 호환성이 없을 것이다. 갤럭시 노트3부터 USB 단자 호환성에 일관성을 두지 않는 것만큼은 일관성(?)있게 지키고 있다.
김남욱 기자 | 아무튼 갤럭시 노트5에 대해 좀더 기능들을 다뤄본 뒤 계속 이야기를 나눴으면 좋겠다.
(이 이야기는 계속 이어질 것이다. 언젠가…)
원문 출처 | 블로그 liverex.net  블로그 chitsol.com
글/ 테크G 김남욱 liverex@techg.kr










2015년 9월 6일 일요일

갤럭시S2 공장초기화 정리

갤럭시S2..

참 오래도 쓴 폰이다.

삼성의 실수? 답게 징글징글 오래도 간다. 별 탈도 없고, 아직도 잘 굴러가는 녀석인데,

그래도 서서히 안식을 줄 필요가 있어 보인다.

그래서인지 노트5 뭐 이런 것에 대해 포스팅을 정리하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암튼, 이제 좀 쉬라고.. 아니 다시 건강해 지라고..

쌓여있는 노폐물을 걸러내고 다시 태어나라고, 공장초기화 방법을 찾아보았다.

공장초기화 후 다시 정리해서 울 딸래미한테 나름 핸드폰 관리법이나 잃어버리지 않고

잘 휴대해 보라고 줄 참이다.

어느정도 휴대폰 휴대가 몸에 배이면, 새로이 폰을 사줘야지..

갤럭시S2의 공장초기화 방법에 대한 정리는 아래에 있다.




S2 공장초기화 및 오류해결

<관련영상>

이제 새로 태어나서 울 딸래미 폰으로 제 몫을 다해주길...

노트5/S6 엣지플러스 사용팁 후기 총정리

아래 사이트 링크를 통해 접속하시면

초기불량 점검,

개통이력 조회

등 다양한 팁 및 후기를 볼 수 있습니다.

보러 가기

2015년 9월 4일 금요일

지진 모니터링 사이트(실시간)


참 신기한 세상이다.

이런 지구적인 지진 모니터링 사이트가 있다니..

카페에 전에 올린 거지만,

새 블로그 개설한 기념으로 우선 잡동사니 중 첫번째 게시물의 영광을 이 녀석이 갖게 되다니..



위 모니터링 사이트의 링크는 다음과 같다.

아이리스

QRA 의 미래..

QRA 가 나아갈 길은 정해져 있다.

사라지거나, 발전해서 살아남거나..

지금처럼의 방식이라면 자충수로 자멸할 것이다.

대신 발전책이 있다.

모든 위험은 언젠가는 발생한다.

사람은 태어나서 죽고, 건물은 지으면 무너진다.

모든 자연계의 섭리는 엔트로피 증대의 법칙 속에서 지배를 받기 때문이다.

불이 안나게 할 수도 없고, 지진이 안 일어나게 막을 수도 없다.

그렇다면, 지금의 과거의 해를 통한 빈도의 문제에도 자유롭고, 시나리오 구성에도 자유롭고, 기준의 문제에도 자유롭고 이를 통해 안전은 더 확보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





바로 사고를 1 로 간주하는 것이다.

무조건 한번은 난다는 명제로 접근을 하되,, 적어도 이 정도 수준의 피해는 막겠다는 안전목표를 정하고 진행하면 된다.

대신, 운영중인 다른 대상을 동일한 방식으로 분석해 보고,,

현재까지 별 무리없이 운영되고 있는 목표 대상의 위험분석치를 현재의 목표에 대한 근거치로 삼으면 된다.

이번 프로젝트는 00의 50% 수준으로 위험을 저감하는 방재계획을 갖겠다던지

유사수준의 방재계획을 마련하겠다던지,,

명확해 지지 않는가?

이러한 철학적인 접근 없이, 이뤄지는 안전성 분석..

이러면 안된다.





QRA 에 대한 단상

이전 글을 보다 보니, 전에는 느끼지 못한 것들이 보이기 시작한다.


몇년동안 이걸 하다보니깐,


잘 못 됬다는 생각이, 논리적으로 말이 안된다는 생각이 든다. 아니 마음 깊숙히 박히게 된 것 같다.


QRA = 빈도 x 결과이다.


결과는 그래 좀 덜 정확하더라도 화재가 커지면 많이 위험한 결과가 나타날 것이고, 약하면 덜 위험하거나 안전한 결과가 나타날 것이다.


첫번째 문제점은 빈도이다.


과거의 통계를 바탕으로 한 미래 예측은 불가능하다. 그러한 통계는 허상일 뿐이다.






주가 예측이 틀리고, 석유자원이 언제 고갈되는지의 예측도 틀리고, 통계는 그저 집계일 뿐이다.


이러한 추세라면 결국 그렇게 된다는 의미라면 이해해 줄 수 있다.


문제는 점점 낮아지는 사고빈도 자체가 문제라는 것이다.


빈도가 점점 낮아지면, 오늘 설계한 것과 10년 뒤에 설계한 게 전혀 다른 품질이 될 수 있다.


빈도가 낮아져서 방재시설이 하나도 필요없게 될 수도 있다.


그러다 사고가 발생해서 인명피해가 발생했다. 누구의 책임인가? 누가 책임질 것인가?


그 후 다시 필요없어졌던 방재시설이 다시 증가된 사고빈도 때문에 설치될 수 있다.


그럼 이전의 설계품들과 밸런싱이 맞지 않는다.


두번째 문제점은 만족의 잣대인 기준이다.


흔히 사회적 위험기준이라고 정량적 위험성 평가의 분석절차의 정확도는 논의에서 제외하더라도, 이 기준은 누가 책임질 것인가?


나도 동의한 적 없고, 여러분도 동의한 적 없고, 근데 기준으로 쓰이고 있는 이 기준은 무엇인가?


이 기준은 그저 우리랑 비슷한 수준에, 위험성 평가가 처음 들어왔을 때, 아무런 분석기준이 없는 상태에서, 이런저런 조건으로 분석을 해 봤더니만, 저 기준을 쓰는 게 제일 타당할 것으로 보였기 때문에 사용한 기준이다.


그런 기준하에서 정해지는 방재시설물의 규모가 참 아쉽다.


이렇게 해서 사고가 나면 누구의 책임인가?


세번째 문제점은 확률에 대한 이해의 차이이다.


정량적 위험성 분석이 의미를 확고히 가지려면, 기준도 좋고, 분석절차도 좋고, 다 좋지만,


이 확률에 대해 받아들이는 인식차를 조명해야 한다.


만년동안 1건의 사고빈도,


이를 받아들이는 바보들의 머리수준..


"이야~ 엄청 낮은 사고확률인데, 그걸 위해서 거금을 들어 뭘 만들어야 되나?"


한대 때려주고 싶다. 그들의 눈에는 빈도의 낮음만 보이고, 결과로 나타나는 사람의 죽음은


안 보인다(위험은 위의 식에서 빈도 곱하기 결과인 것을 명심하기 바란다).


하루에 한번 사고나는 건은?


둘 다 소중한 인명이 걸린 문제이므로 둘 다 잘 다뤄야 할 문제이다. 단순히 확률이 낮고 높음의 문제가 아니다.


다시 말해, 기간으로 따지자면, 만년이 길어보일 수 있지만, 파국적인 그 1 의 확률이 만년동안 지속된다고 생각을 바꿔야 하지 않을까?


1/10000 의 그 1 이 내일, 모레, 아니면 다음달, 내년, 십년, 백년,, 언제 발생할 지는 아무도 모르는 것이기 때문이다.


지구와 소행성의 충돌에 대한 다큐멘터리를 보기 바란다.


거기에 위와 같은 확률 개념이 약간 소개된다.


거기나온 석학들이 말한다.


다가오는 미래에 파국적인 결과를 초래하는 소행성의 충돌을 막기 위해 지금부터 지구근접천체 확인에 온힘을 기울여야 된다고 말이다.


위와 같은 문제점들은 다 알고 있을 것이고 공감할 것이지만


누구하나 얘기하는 사람이 없다.


외국의 터널들은 진짜 많은 방재시설을 도입한다.


우리의 터널들은 자꾸 뭘 빼려고 한다.


왜 돈이 없단다. 돈이,, 그럴 바엔 터널을 뚫지 말자... 그냥 지상으로 굽이굽이 돌면서


경치도 좀 보면서, 그냥 다니면 되지 않을까?

피난 프로그램의 간단 비교

피난 자료에 있던 내용 중 프로그램 부분만을 정리해 봤습니다. 참고들 하세요..

국내에서는 Simulex 가 대표적인 피난 툴로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 Pathfinder 가 일부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외에도 소수의 유저들이 bulidingExodus 나 Gridflow 를 사용하고 있는 듯 보이며,

여러분들이 많이 사용하고 있는 FDS 프로그램에도 자체의 Evac 기능이 있다는 것은 다들 아실 듯..

이 자료는 예전 2007년도에 카페에 올렸던 자료입니다만..

참 세월도 빠르네요. 그 땐 열정도 많았는데

지금은 에휴

암튼 못 본 분들은 참고하길 바라며 이 글을 다시 올려봅니다.




1. Egress Section in FPETool
   ->Developer: H.E. Nelson, National Bureau of Standards, U.S.
   ->Purpose of the model: The purpose of FPETool is to estimate the time needed for an occupant 
     or group of occupants to exit an area.
   ->Limitations: There are many assumptions made by the model. These assumptions are
     the following: the most efficient exit paths are chosen, no actions such as investigation,
     way-finding, etc. are incorporated, flow is ideal without congestion, and there is no
     adjustment to flow speed due to density. Nelson notes that it is reasonable to expect
     evacuation times that are two to three times greater than the nominal evacuation time
     obtained from FPETool.
 
2. EVACNET4
   ->Developers: Kisko, Francis, and Nobel, University of Florida, U.S.
   ->Purpose of the model: EVACNET4 can be used for any type of building, such as office
     buildings, hotels, skyscrapers, auditoriums, stadiums, retail establishments, restaurants,
     and schools. The purpose of the model is to describe an optimal evacuation from a
     building, meaning that the model minimizes the time to evacuate the building.
     EVACNET4 replaces the previous version, EVACNET+.
   ->Limitations: The model’s array sizes can be accustomed to fit needs of building. This
     simply requires a larger memory. The text input files are arduous to assemble for a
     complex building.

3. Takahashi’s Fluid Model
   ->Developers: Takahashi, Tanaka, and Kose, Ministry of Construction, Japan
   ->Purpose of the model: The purpose of this model is to predict and evaluate the
     evacuation time of people in a fire, mainly from a low level hazard. The assumption of
     this model is that people move like a fluid.
   ->Limitations: The model only provides estimates of the general movement pattern of the
     occupants.
 
4. PathFinder
   ->Developer: RJA Group, U.S.
   ->Purpose of the model: The purpose of developing this model is to provide an analytical
     egress simulation tool that could be coupled with an external fire model to form a portion
     of hazard analysis. The model is used to find bottlenecks and queues in a design. There
     is no specific building type specialty.
   ->Limitations: None specified as to limitations on model capacity.

5. TIMTEX
   ->Developer: S.S. Harrington, University of Maryland, U.S.
   ->Purpose of the model: The TIMTEX model was developed to model evacuation from
     buildings 4 to 15 stories high with consideration of certain human factors, such as
     occupant decision on stair use.
   ->Limitations: The model should be used for buildings 4-15 stories in height only, since
     the model developer has compared her results/output to Pauls’ Canadian fire drill
     evacuation data and GSA fire drill evacuation data. The developer has found enough
     consistency at those building heights. Also, this model does not actually move people
     throughout the floor plan.

6. WAYOUT
   ->Developer: V.O. Shestopal, Fire Modelling & Computing, AU   
   ->Purpose of the model: WAYOUT has been created to compute traffic flow in
     emergency situations from a multi-room or multi-story building. In this model, only
     merging flows are considered.
   ->Limitations: Only merging flows are considered. The model allows for up to 400
    “twigs.”

7. Magnetic Model
   ->Developers: S. Okazaki & S. Matsushita, Fukui University, Japan
   ->Purpose of the model: The purpose of this model is to visualize the movement of each
     pedestrian in a floor plan as an animation so that architects and designers can easily find
     and understand the problems of their design projects. This model uses the functional
     analogy of the motion of a magnetic object in a magnetic field.
   ->Limitations: None provided in documentation.

8. EESCAPE (Emergency Escape)
   ->Developer: E. Kendik, Cobau Ltd. Argentinierstr. Austria
   ->Purpose of the model: The purpose of this model is to address the time sequence from
     the time at which people begin evacuation from the floors until they reach the outside or
     approved area of refuge in the building. The program allows the user to change the
     dimensions of the building’s means of egress and the occupant load easily to assess the
     influence of the variations in the system.
   ->Limitations: Seems to be a simple 1-route configuration.

9. EgressPro
   ->Developer: P. Simenko, SimCo Consulting, AU
   ->Purpose of the model: The purpose of this model is to predict egress times from a
     deterministic time-line analysis for a single user-selected room, corridor, and stair
     arrangement. The model is a tool for assessing egress conditions during fire emergencies
     in buildings.
   ->Limitations: The model produces only a “time-line” calculation of movement
     throughout the room, corridor, and stair arrangement.

10. ENTROPY
   ->Developer: H.A. Donegan, University of Ulster, UK
   ->Purpose of the model: The purpose of this model is to encompass egress uncertainty
     related to the building and provide a measure of complexity of the building structure.
     This is not a traditional egress model in that it does not calculate egress times for a
     certain population, but instead uses an entropy probability to simulate the expected
     information content, and in turn, the complexity of the floor plan. This model is
     considered to be a macroscopic model, which focuses on evacuation routes and the
     population as a whole, instead of individual elements (microscopic).
   ->Limitations: One limitation is the assumptions made by the model. This is not a
     traditional evacuation model, but instead a model used to measure the complexity of the
     structure from an evacuation point of view.

11. STEPs
   ->Developer: Mott MacDonald, UK
   ->Purpose of the model: The purpose of this model is to simulate occupants in a normal or
     emergency situation within different types of buildings, such as stadia or office buildings.
   ->Limitations: One of the limitations of this model is the fact that occupants move only
     according to availability of next grid cell. There is no limit on the number of floors to
     use. However, the real strain on the computer comes from the number of grid cells and
     the number of people specified in the model. If the user has a particularly fast computer,
     there is no limit.

12. PEDROUTE and PAXPORT
   ->Developer: Halcrow Fox Associates, UK
   ->Purpose of the model: The purpose of this model is to simulate the passage of travelers
     through public transport stations. PEDROUTE has been used to model approximately
     100 underground stations in London. PAXPORT, which can model airports or railway
     terminals, has the capability of incorporating the movement of passengers in shopping
     and waiting areas in the stations. PAXPORT can model aircraft, train, bus, and passenger
     movements. The models can be used to show where capacity problems are likely within
     the stations, and test improvements.
   ->Limitations: No individual consideration.

13. EXIT89   ->Developer: R.F. Fahy, NFPA, U.S.
   ->Purpose of the model: EXIT89 was originally developed as the evacuation model for
     Hazard I to simulate large populations in buildings (high-rises). The developer claims
     that the model is capable of the following things:
     ? Handle large populations
     ? Recalculate exit paths after nodes become blocked by smoke
     ? Track individual occupants as they move throughout the building
     ? Vary travel speed as a function of population density.
   ->Limitations: The limitation of the model is 89 nodes per floor and up to 10 stairways for
     the building. The size of the building and the number of occupants is limited by the
     storage capacity of the computer used. Once a person enters a stairwell, they will remain
     in that stairwell throughout the entire evacuation (unless stairway is blocked). EXIT89 is
     set to allow 1000 5-second time steps, 10,000 links, 20,000 occupants and 10,000
     building locations. This is hard-wired into the program, but is easily adjusted.

14. Simulex
  ->Developer: P.Thompson, IES, UK
   ->Purpose of the model: Simulex is an evacuation model with the capability of simulating
     a large amount of people from geometrically complex buildings.
   ->Limitations: The only limit to the model is the capacity of the computer used to run the
     simulations. However, occupants get “stuck” in the links of the buildings during certain
     simulations. The user manual offers solutions to this problem.

15. GridFlow
   ->Developer: D. Purser & M. Bensilum, BRE, UK
   ->Purpose of the model: The purpose of this model is to represent individual occupants in
     building spaces on a grid network. Pre-movement time and pre-movement-travel
     interactions are considered central to the evacuation using GridFlow. Purser considers
     this model to be as informative as other sophisticated models, but uses “simple,
     transparent, and easily verifiable behavioral inputs, derived from empirical data or
     specified and justified by the user”
   ->Limitations: Supports occupant populations up to 5000 (as of year 2000) and more
     behavioral capabilities are under development.

16. ALLSAFE
   ->InterConsult Group ASA, Norway
   ->Purpose of the model: The purpose of this model is to determine whether or not
     occupants are at risk depending upon input data for the building, the building use, the
     occupants, and the design fire scenario.
   ->Limitations: Only one exit per node structure.

17. CRISP3
   ->Developer: J. Fraser-Mitchell, BRE, UK
   ->Purpose of the model: The purpose of this model is to simulate entire fire scenarios
     incorporating a Monte Carlo technique. There is also an option to simulate an evacuation
     using the external or “stand-alone” evacuation model, which does not incorporate the
     zone fire model effects or the toxicity effects to the occupants. In this mode, the model
     will run in fire drill mode, but the Monte Carlo technique can still be used.
   ->Limitations: Complex input files and all behavioral activities must be input by the user.
     Limitations of the program involve up to 1000 rooms, up to 20 floors, and 15,000
     occupants maximum. Also, the maximum grid network is 0.5 x 0.5 m grid.

18. ASERI
   ->Developer: V. Schneider, I.S.T. Integrierte Sicherheits-Technik GmbH, Germany
   ->Purpose of the model: The purpose of the model is to simulate egress movement in
     complex geometrical environments, such as railway and underground stations, airports,
     theatres, sports arenas, trade fairs, etc.
   ->Limitations: The number of specified levels (floors), units, passages, and obstacles is
     limited by computer memory.

19. BFIRES-2
  ->Developer: F. Stahl, NBS, U.S.
   ->Purpose of the model: The purpose of this model is to simulate an occupant moving
     throughout a building as a result of decisions he makes during a period of time. The
     computer program is described by the developer as “modular” in form. To explain, each
     subroutine has a specific function as its purpose, and these functions fall into the
     categories of perception, cognition, and action (all relative to the environment). The
     subroutines are linked through the main program.
     BFIRES simulates a building fire as a chain of “time frames” and for each time
     frame, the model generates a behavioral response for every occupant in the building.
   ->Limitations: A limitation of the model is very specific inputs for EACH occupant. It
     probably gets difficult to model a large number of people. Also, it is not clear what the
     limit is for modeling a certain number of occupants. This is a much older model.

20. buildingEXODUS
   ->Developer: E. Galea and FSEG Group, University of Greenwich, UK
   ->Purpose of the model: The purpose of this model is to simulate the evacuation of a
     large number of people from a variety of enclosures. The modeling suite consists of
     airEXODUS, buildingEXODUS, maritimeEXODUS, railEXODUS, and vrEXODUS
     (Virtual reality graphics program). buildingEXODUS attempts to consider “peoplepeople,
     people-fire, and people-structure interactions.” The model consists of six
     submodels, as shown in Figure 2.18, that interact with one another to pass information
     about the evacuation simulation, and these are Occupant, Movement, Behavior, Toxicity,
     Hazard and Geometry submodels.
   ->Limitations: If users decide to purchase the level 1 option, the website notes that “Level
     1 can handle multiple floors and unlimited population sizes, includes the movie player
     facility and the data analysis tool askEXODUS. Limitations are dictated by the
     capabilities of the host computer. This version does not include a toxicity sub-model and
     posses a limited capability hazard sub-model.” The Level 2 option involves “As level 1
     but includes a toxicity model that allows the inclusion of the fire hazards of smoke, heat
     and toxic gases within the simulation. An ability to import history files from CFAST
     V4.01 in order to define the fire atmosphere. This level includes the movie player, data
     analysis tool askEXODUS and an ability to produce output capable of being read by the
     post-processor virtual reality software vrEXODUS. Level 2 encompasses the full
     capability of buildingEXODUS.”

21. EGRESS
   ->Developer: N. Ketchell, AEA Technology, UK
   ->Purpose of the model: The purpose of this model is to determine the evacuation of
     crowds in a variety of situations, such as theaters, office buildings, railway stations, and
     ships.
   ->Limitations: The model developers state that there are few practical limits on the size of
     the simulations because the model can handle several thousand occupants and plan areas
     of many km2.

22. EXITT
   ->Developer: B.M. Levin, NBS, U.S.
   ->Purpose of the model: The purpose of this model is to simulate occupant decisions and
     actions in fire emergencies in small residential buildings. The decision rules used by the
     model were designed to resemble decisions made by occupants during a fire emergency.
     These decision rules are based on:
     ? Judgment by the author
     ? Case studies of residential fires
     ? A limited number of controlled experiments
   ->Limitations: This model is used only for residential buildings. Occupants respond to
     smoke conditions only, not toxicity or heat. Also, many of decision rules are based on
     author judgment.

23. VEgAS
   ->Developer: G.K. Still, Crowd Dynamics Ltd., UK
   ->Purpose of the model: The purpose of this model is to simulate human behavioral
     response under stress conditions and through the fire environment, monitoring toxicity
     levels and physical containment. All occupants and components of the building operate
     in “real-time” in a “virtual reality (VR) world.”
   ->Limitations: Some of the behavioral factors have not been calibrated with real life data.

24. E-SCAPE
   ->Developer: E. Reisser-Weston, Weston Martin Bragg Ltd, UK
   ->Purpose of the model: The purpose of this model is to view evacuation in real time,
     identify bottlenecks in the building configuration, and to gain a probabilistic view of the
     emergency scenario by running the model several times. This model has been complied
     from studies carried out on emergency evacuation from over 30 years ago.
   ->Limitations: Still some questions left unanswered about model.

25. BGRAF
   ->Developer: F. Ozel, University of Michigan, U.S.
   ->Purpose of the model: The purpose of the model is to simulate cognitive processes
     during evacuation with the use of a graphical user interface. The developer recognizes
     the model BFIRES-2, of which this model seems to be very similar.
   ->Limitations: No mention of processing time or capacity of model.

26. EvacSim
   ->Developer: L. Poon, at the Victoria University of Technology, AU
   ->Purpose of the model: The purpose of this model is to simulate a variety of complex
     human behavioral activities, deterministically, probabilistically, or both. The model is
     capable of modeling a large population, but at the same time considers human behavior at
     the individual level. An occupant can be modeled to interact with the fire environment
     and/or other occupants, depending upon the occupant’s specified level of severity.
   ->Limitations: EvacSim needs more development and a complete validation. According
     to the developer, the model is not presently modeling some behavior related to
     residences, and he would like to integrate a fire model.

27. Legion
   ->Developer: Legion International, Ltd., UK
   ->Purpose of the model: The purpose of this model is to predict crowd behavior by
     simulating how individual groups of people behave in public places. Aside from the
     occupant input for each person, additional input can be provided to the model such as
     local queuing systems, service rates (the time it takes to serve one person at a ticket
     booth), obstructions (furniture, columns), typical distribution of people along train
     platforms, train capacities, etc.
   ->Limitations: -

28. Myriad
   ->Developer: G.K. Still, Crowd Dynamics, Ltd, UK
   ->Purpose of the model: The purpose of this model is to assess the spatial dynamics
     required for a successful evacuation. Myriad is also used to ensure compliance to codes
     and insurance assessment. This is a macroscopic model, and because of this, Still states
     that the output does not depend on assumptions about the population incorporated in the
     model. This collection of techniques supersedes the VEgAS and Legion systems.
   ->Limitations: -

29. MASSegress

30. EVI

기타 등등..

CFD 의 역사

CFD 는 고유한 역학에 비해 그리 역사가 오래 되었다고는 할 수 없습니다만.

CFD 라는 분야도 그러한 역학 계산의 한 줄기라고 한다면, 그 원 뿌리는 상당히 오래 될 수도 있습니다.

아래에는 간단히 CFD 가 어떻게 흘러왔는지에 대한 글이 있습니다. 찬찬히 잘 읽어 보기 바랍니다.




CFD 의 역사


문명의 새벽 이후, 인류는 항상 강의 흐름, 바람과 날씨, 금속의 제련, 강한 해류나 인체 내의 혈액의 흐름과 같은 유체에 관심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아주 오래 전, Heraclitus와 같은 훌륭한 그리스 사상가들은 "모든 것은 흐른다."고 주장하였습니다. 그러나 그는 인식이 가능한 과학적인 방법보다 오히려 철학적인 접근으로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Archimedes는 정역학, 정수역학의 분야들을 시작하였고, 어떻게 밀도와 물체의 부피를 측정하는 지 알아냈습니다.

과학에 정통한 옛 로마인들의 관심은  수로, 운하, 항구, 그리고 목욕탕과 같은 급수 시설에 있었습니다.

이 생각은 르네상스 시대에 와서 남유럽에서 다시 다루어지기 시작하였습니다. 다시 상세하게 유체와 유동의 자연적인 세계를 시험하기 시작한 것은 Leonardo da Vinci와 같은 우리들이 훌륭한 예술가로 알고 있는 기술자들이었습니다.

그는 유체의 형태와 구조를 인식하고, 실제와 동일하게 정확하게 그림으로 표현하며 물질 세계에서의 자연적인 현상들을 관찰하였습니다.

그는 중앙 이탈리아에서 운하와 항구를 계획하고 관리하였습니다.

유체 역학에 그가 공헌한 것들은 물의 표면, 물의 움직임, 파도, 소용돌이, 썰물, 자유 제트, 파도의 간섭, 그리고 또 다른 많은 최근에 관찰된 현상들을 다루는 9권의 부분 논문에 표현되었습니다.

레오나르도는 17세기 후반에 영국의 뉴턴에 의해 계승됩니다.

뉴턴은 그의 기본 뉴턴학설을 통하여 유체 흐름 현상을 예측하고 측정하려고 하였습니다.

유체 역학에 그가 공헌한 것들은 그의 2번째 법칙(F=ma, 응력과 변형률이 선형으로 변화하는 뉴터니안 점성의 개념)과 상반원리(움직이는 유체에 의해 멈추어 있는 물체에 작용한 힘은 물체의 주위에 반영되는 유체의 모멘텀의 변화, 그리고 액체 표면에서의 파의 속도와 그 파장 사의의 관계식과 같다.)을 포함하였습니다.

18, 19세기, 수학적으로 유체의 운동을 설명하려고 하는 시도가 계속되었습니다.

Daniel Bernoulli(1700-1782년)는 유명한 베르누이 방정식을 유도하였습니다. 그리고 Leonhard Euler(1707-1783년)는 비점성유체의 운동량 보존과 질량 보존의 법칙을 설명한 오일러 방정식들을 유도하였습니다. 그는 또한 속도퍼텐셜 이론을 제안하였습니다.

이 시대에 유체 유동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2명의 공헌자가 있었습니다. 프랑스 사람인 Claude Louis Marie Henry Navier (1785-1836)와 아일랜드 사람인 George Gabriel Stokes(1819-1903년)는 오일러 방정식으로 점성 이동을 소개하였고 Navier-Stokes 방정식을 만들었습니다.

거의 200년전 그들이 제안한 이 편미분방정식의 형태는 현대의 전산유체역학(CFD) 산업의 기초가 되었고, 그들은 질량, 운동량, 압력, 난류의 보존에 대한 표현을 포함하였습니다.

실제로, 이 방정식은 해답을 찾기에는 너무나 밀접하게 연결되고 어려워서 1960, 70년대에 디지털 컴퓨터가 나온 후에야 실제 유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습니다.

19세기 유체유동에 관련된 이론들을 정립한 다른 주요 인물들은 Jean Le Rond d\'Alembert, Simeon-Denis Poisson, Joseph Louis Lagrange, Jean Louis Marie Poiseuille, John William Rayleigh, M. Maurice Couette, Osborne Reynolds, and Pierre Simon de Laplace 등이 있었습니다.

20세기 초반, 유체 흐름에 경계층과 난류의 이론들을 정립하는 작업이 수행되었습니다.

Ludwig Prandtl(1875-1953년)는 우리들이 오늘날 당연하다고 여기는 경계층 이론, 혼합 길이 개념, 압축흐름, 프란틀 수, 그리고 더 많은 것들을 제안하였습니다.

Theodore von Karman(1881-1963년)는 von Karman vortex street로 현재 알려진 것을 해석하였습니다.

Geoffrey Ingram Taylor(1886-1975년)는 난류의 통계적인 이론과 테일러 마이크로 축척을 제안하였습니다.

Andrey Nikolaevich Kolmogorov(1903-1987년)는 난류에 대한 Kolmogorov 축척과 보편적인 에너지 스펙트럼의 개념을 소개하였습니다. 그리고 George Keith Batchelor(1920-2000년)는 균일 난류의 이론에 공헌하였습니다.

CFD의 시초라고 하기에는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영국의 Lewis Fry Richardson(1881-1953)은 첫 번째 수치적 기상 예측 시스템을 개발하였습니다. 이것은 물리적인 공간을 그리드 셀로 나누었고 Bjerknes의 "primitive differential equations"의 유한차분 가정들을 사용하였습니다. 그의 시도는 단 8시간에 대한 날씨를 계산하기 위해 실제의 시간은 6주가 걸렸고 실패로 끝났습니다. 그의 모델의 거대한 계산 요구사항은 그가 "forecast-factory"라고 한 시스템을 제안하도록 Richardson을 이끌었습니다. 그 공장은 64,000명으로 거대한 경기장을 채우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었습니다. 기계식 계산기를 가진 개개인은 유동의 일부의 계산을 수행할 것입니다. 컬러 신호등과 전신통신을 사용하는 중심의 관리자는 예측을 통합할 것입니다. 그가 제안하고 있었던 것은 매우 근본적인 CFD 계산이었습니다.

원통을 지나가는 흐름을 계산한 가장 빠른 수치 해법은 1933년에 영국에서 Thom에 의해수행된 것으로 기록되었습니다

1953년 일본의 Kawaguti는 18개월 동안 주당 20시간씩 기계식 책상 계산기로 계산하여 원통 주위의 유체 흐름에 대해 유사한 해답을 얻었습니다.

1960년대, 미국에 로스알라모스에 위치한 NASA의 이론 분과에서 오늘날 CFD에서 여전히 사용하고 있는 Particle-In-Cell (PIC), Marker-and-Cell (MAC), Vorticity-Stream function methods, Arbitrary Lagrangian-Eulerian (ALE) methods와 the ubiquitous k - e turbulence model과 같은 많은 수치계산법들을 정립하였습니다.

1970년대, 런던왕립대학에서 D. Brian Spalding의 지도로 일하는 그룹이 k - e equations의 형태 뿐만 아니라 Parabolic flow codes (GENMIX), 코드에 기반한 Vorticity-Stream function, the SIMPLE algorithm과 the TEACH code를 개발하였습니다. (Spalding & Launder, 1972) 그들은 상승 기류를 개발하는 것을 계속하였고, Eddy breakup과presumed pdf 연소 모델을 개발하였습니다.

CFD 산업에 다른 중요한 사건은 1980년 Suhas V. Patankar 교수가 저술한 "Numerical Heat Transfer and Fluid Flow"의 출간입니다. 이 책은 CFD에 아마도 가장 큰 영향을 끼친 책이며, 수 천개의 CFD 코드를 만들어냈습니다. 그것은 1980년대 초 상업적인 CFD 코드를 열린 시장으로 인도하였습니다.

또, 세계의 주요한 회사들이 회사 내의 CFD 코드를 계속 개발하는 것 보다 상업적인 CFD 소프트웨어의 사용하기 시작하였습니다.

상업적인 CFD 소프트웨어는 유체 유동, 열과 물질 전달의 기본 방정식을 정의하는 매우 복잡한 비선형 수식들의 집합에 기준합니다.

이 방정식은 CFD 소프트웨어에 포함된 복잡한 컴퓨터 알고리듬을 사용하며 반복하며 계산합니다.

그러한 소프트웨어의 실제 효과는 어떠한 유동장과 물체의 기하 간의 계산적인 모델을 해석하고 물리학과 화학 현상을 규명하고 어떤 초기 유동 조건을 예측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CFD 소프트웨어로부터 결과들은 "엄청난" 수치 데이터와 X-Y 차트, 또는 일정한 유동장 의 속성의 선들, 속도 벡터의 컬러 그림, 등가 압력도 등과 같이 그래픽으로 볼 수 있습니다.

CFD는 오늘날 모든 산업에서 광범위하게 사용하는 CAE의 일부분으로 다시 인식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플랜트 설계 엔지니어나 해석 엔지니어들은 유체 흐름 현상들의 모델링하므로써 그들의 데스크탑 컴퓨터에 가상의 풍동을 가지는 것과 같아 질 것입니다.

CFD 소프트웨어는 Navier, Stokes 또는 da Vinci가 상상한 것보다 휠씬 많이 발전하였습니다.

CFD는 비행기, 기차, 자동차, 로켓, 배, 잠수함에 대한 유체동역학 설계 과정에 없어서는 안되는 부분이 되었습니다. 그리고 실제로 인류가 고민한 어떤 움직이는 항공기나 제조 공정에 사용되었습니다.

CFD 에 대한 단상..

CFD 분야의 발전은 상당한 수준까지 전개되었다..

초기의 간단한 유동과 열전달에서부터, 이제는 불도 지르고, 고속열차 주행도 시키고, 심지어 충돌시 변형도 시킨다. 분야마다 다르지만, 유체, 항공, 우주, 전자, 소음, 해양, 화공 등 거의 전체 역학 부분에 있어 CFD 의 역할 및 비중은 상당하다. 

이제 서서히 조금 더 사람들에게 친숙히 다가가려 하고 있고, 그러다 보니 사람들은 CFD 는 아무나 할 수 있는 툴이 되어 버린듯하다. 

그 말이 맞더라도 CFD 를 통한 협업체계가 구축되더라도, 기본적인 구성만으로 돌릴 수 있는 부분도 있고, 최고의 전문성이 함께 고려되어야 하는 부분도 있고, 그 중간의 어정쩡한 부분도 있다는 점은 간과해서는 안된다.





지금도 CFD 를 접하는 사람들 중에 CFD 가 단순히 프로그램 열고 모델링해서 계산하는 것으로만 아는 사람들이 많다.

또한 그 결과가 아주 엉망인 데, 그 결과를 분석하지 못하는 사람 또한 많다. CFD 분야는 이론도 알아야 하고, 코드도 알아야 하고, 모델링도 해야하고, 미적 감각도 있어야 하고, 정확한 분석력도 필요한 분야이다.

적어도 지금 내가 뭘하고 있는건지 지금 보이는 게 뭘 의미하는지 미시적인 전문성 뿐만 아니라 거시적인 전문성도 갖춰야 한다. 이를 간과할 경우, 그냥 돌리는 사람. 오퍼레이터 밖에 안된다.

그런 측면에서 지금 주변의 해석유저 중 상당수는 그저 오퍼레이터다.

CFD 에서는 아주 유명한 격언이 있다. ㅎㅎ "쓰레기를 넣으면 쓰레기가 나온다"

나중에 이런 소리 안들을라면 기초부터 아주 탄탄히 준비하고 연구하고 공부해야 할 것으로 본다.

자기가 분석한 게 뭐가 잘못된지도 모르고 맞다고 난리법석을 떠는 그런 사람들 또한 CFD 유저인 것은 맞다.

CFD 유저 중 상당수는 프로그램 메뉴얼 조차 안 본 사람들이 상당하다.

그래서 그들은 오퍼레이터일 수 밖에 없다.

CFD 의 기본을 알고 CFD 를 했으면 한다.

설령 실상 업무에서 이것을 이렇게 맞춰주시오 라는 무리한 요구가 있어도, 적어도 그건 이래서 안됩니다. 라고 말할 수 있는 사람이 되었음 하고, 그렇게 CFD 를 자신의 이익에 맞도록 합리화하는 사람이 많을수록 결국 특정 분야의 CFD 는 결국 알록달록한 이쁜 그림이 될 수 밖에 없으며 결국, 아무나 할 수 있는게 된다.

그런 사람들 때문에 정작 잘하는 사람들이 욕을 먹는 이상한 구조의 CFD 시장이 안되도록 많이들 노력해야 할 것이다.

T형 인재와 A형 인재

안철수 전교수가 한 말이라는 데, 이전에 다른 카페에 올린 적이 있지만, 다시금 되새겨 보고 싶다. 아래는 그 글을 요약한 것이다.

자기 분야에 대한 전문성을 갖고 있으며 다른 분야의 상식까지 두루 갖추고 있는 'T자형 인재'가 지금까지의 이상적인 인재상이였다면, 이제는 'T자형 인재'를 뛰어넘는 'A자형 인재'가 돼야 한다. 'A자형 인간'은 한 분야의 전문 지식뿐만 아니라 다른 분야에 대한 상식과 포용력이 있는 각 개인들(人)이 서로 가교(―)를 이뤄서 하나의 팀으로 협력한다는 의미라고 한다.

안 교수는 "현대의 전문가에게는 갖고 있는 지식을 상대방이 이해할 수 있도록 전달하는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필요하다. 전문성과 상식, 다른 사람과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갖춘 'A자형 인재'야 말로 진짜 인재"라고 말했다.

"어떤 분야의 전문가가 되기 위해서는 매 순간 최선을 다해야하며 그 과정에서 '고통 없이는 아무것도 얻지 못한다'는 것을 깨달았다"고 밝혔다.





<T 자형 인간이란..>

자기분야는 물론이고 다른 분야에도 일가견이 있는 종합적인 사고능력을 가진 사람을 일컫는다. T 자의 “-” 는 횡적으로 많은 것을 아는 것(generalist)이며 “l”는 종적으로 한 분야를 깊이 안다(specialist)는 뜻으로 전사원의 전문가화를 모토로 제너럴 일렉트릭(GE)에서 처음 도입한 개념이다.

<A자형 인재가 필요하다.>

A자형은 사람 인(人)자와 그 사이를 잇는 선이 삼각 균형을 이루는 상태. 즉, 전문성, 인성, 팀워크 능력을 겸비한 인재를 말한다. 도요타의 T자형(전문성과 연관 지식 갖춘 프로)에 팀으로 성과를 높이는 능력이 추가된 개념. '전문성'을 갖추기 위해 그 분야의 지식과 끊임없는 자기계발 노력, 문제해결, 개선능력, 창조력, 고객지향성 등 5가지가 필요하다.

'인성'부문에서는 최선을 다하는 자세와 자신의 한계를 뛰어넘으려는 도전정신, 긍정적인 사고방식, 사명감과 공익정신이 핵심 요소이다.

'팀워크' 능력을 키우는 데는 '나도 틀릴 수 있다' 는 열린 생각, 타인을 존중하고 배려하는 마음, 커뮤니케이션 능력, 후배양성 능력, 동기 부여와 연계된 리더쉽 등을 중시한다.

결국 우리 시대에 필요한 인재는 한 분야에 대한 전문지식 뿐만 아니라 커뮤니케이션 능력까지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는 얘기다.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없는 전문가는 자신이 맡은 일을 잘 하지만 그 일의 결과를 다른 사람에게 전달해서 더 높은 수준의 성과로 만들어내지 못한다.

이 한계를 뛰어넘고 조직과 인재가 입체적으로 'Win-Win'하는 것이 바로 21세기의 성장동력이다.

----

다 좋은 이야긴데,, 노력하지도 않고 빈둥대는 사람에게 A 의 자세로 해 본적이 있었다. 즉 그 사이를 이어보려고 했다는 말이다.

근데, 준비가 안 된 그 사람에게는 나의 이 행동이 오히려 독이었다.

항상 주기를 바란다. 안 주면 안한다. 그로 인해 오히려 내 신념이 흔들리기에,, 저렇게도 살 수 있다는 것을 봤기에.. 그리고 느꼈다.

비슷해야 되는구나 라는 점을.. 그래야 더 윈윈도 가능하고, 시너지도 생기고,, 일할 맛도 나고,, 궁극적으로 저런 자세는 항상 염두에 둬야 한다는 것은 알고 있다. 다시 노력해 보자

2015년 9월 1일 화요일

excel